<p></p><br /><br />예년같으면 휴가철이라 공항이 붐빌때죠. <br> <br>요즘 공항 국제터미널은 놀랄만큼 한산합니다. 비행기가 워낙 없다보니 소상공인들이 스스로 전세기를 구해 나가기도 하고, 입국 과정도 상당히 삼엄합니다. <br> <br>코로나19 속에서도 공항을 오가는 사람들의 사연들, 제가 직접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인천공항 국제터미널에 나와있습니다. 여전히 이렇게 사람이 없습니다. 티켓을 발권하는 카운터도 비어있고요.<br><br>평소에는 줄이 길었던 출국장도 조용합니다. 텅빈 카운터는 적막감이 감돌 정도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유일하게 붐비는 중국 항저우행 수속 카운터. <br> <br>정부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소상공인들을 위해 한인회가 전세기를 빌린 것입니다. <br> <br>[인터뷰] <br>무역하시는 분들이기 때문에 생업의 문제도 있고 해서… 큰 기업에서 추진하면 다되는데 개개인이 이렇게 하는 것은 어려움이 많죠. <br> <br>[인터뷰] <br>(정부가 중국에서 2주 사업한 사람은 자가격리 면제해주겠다 그랬던데) 2주는 의미가 없죠. 가서 2주격리 되고 바로 들어와야 되니까. 그러니까 현실을 제대로 파악 안 한 탁상행정 같은 거죠. <br><br>코로나 19 때문에 중국에 있는 부모님과 6개월 넘게 떨어져 지내던 어린 형제도 간신히 구한 전세기를 타게 됐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(아 거기 엄마, 아빠가 있어요?) 엄마, 아빠가 있어서 좋아요. <br> <br>한국에서 돌봐주던 할아버지 할머니와 작별하고 중국으로 향합니다. <br> <br>그렇다면 입국장 상황은 어떨까. <br> <br>방역복을 입은 공항 직원들이 입국 게이트 앞을 지키고 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들어오시는 분들이 더 밝은 마음으로 들어오죠. <br><br>간단한 건강 체크 서류를 작성하는 입국자들. <br> <br>지자체별 수송 버스나 자기 차를 이용해 각자 조심조심 집으로 돌아갑니다. <br> <br>두바이에서 입국하는 아들 가족을 먼 발치에서라도 보려고 공항을 찾았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(애기들이 몇 살인데요?) <br>3살, 5살 됐어요. <br>(그럼 안 보신지 얼마나 된 거예요?) <br>작년 5월에 왔다 갔어요. <br> <br>두바이 확진자가 몇 명인지 매일 확인하며 돌아올 날만을 기다렸는데. <br> <br>[인터뷰] <br>코로나가 터져가지고 완전히 못 봤죠. 너무 힘들어요. 솔직한 얘기로. 와도 이제 2주간 격리를 들어가잖아요. <br> <br>애타게 기다린 정성에도 불구하고 손주에게 발열증상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결국 아들 가족은 격리시설로 향했고, 노부부는 발길을 돌립니다. <br> <br>여행객과 출장객으로 언제나 붐비던 인천 공항. <br> <br>언제쯤 자유롭게 오갈 수 있을까. 모두들 답답한 심정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저는 가면 코로나 끝나야 들어올 겁니다. <br>(아 진짜요?) <br>네네 백신이 나오든지. <br>(엄청 오래 계시는 거네요.) <br>할 수 없죠. 들어오면 또 <br>격리당해야 되는 거니까. <br> <br>여인선이 간다 였습니다.